얼터네이트(The Mandela Catalogue)

최근 편집일시 : (♥ 0)




얼터네이트
Alternates
파일:Alternate_icon_by_Alex_Kister.png
The Mandela Catalogue Vol.1 [RESTORED EDITION]에서 묘사된 모습
본모습(pure form)[ 열람주의 ]
파일:Alternatepureform.jpg
종족명불명[1]
이명얼터네이트(Alternates)
예기치 않은 위협(An Unforeseen Threat)
일시적 현상(Temporal Phenomena)
탄생최소 천지가 창조된지 3일째 시점[2]
지도자최초의 얼터네이트(The First Alternate)[3]
협력자침입자
정치체제하이브 마인드
성별불명[4]
수명불명
1. 개요
2. 특징
2.1. 동화
2.2. 지능
2.3. 불멸성
2.4. M.A.D.
2.5. 333 변질
2.6. 하이브 마인드
3. 종류
3.1. 도플갱어
3.2. 언스피커블
3.3. 결함 있는 사칭자
3.3.1. Overdriven Assimilations
3.4. 툴파
3.5. 그 외
3.6. 삭제된 종류
4. 양치기
5. 여담


1. 개요[편집]


alternates

alternates are very spooky and mysterious creature things that we dont really know a lot about. they seem to be just urban legends (locals account of seeing an emergency PSA 15 years ago regarding alternates, but some outright deny their entire existence!!) mandela county in particular has a horrible reputation for housing these conspiracy theorists that swear on their life about alternates, but thats where the mystery ends. the best we can do is try to get evidence ourselves !!!

MandelaTECH 사이트의 "얼터네이트"#@[5]

Alternates

The Mandela Catalogue에 등장하는 정체불명의 생명체, 또는 집단. 초자연적인 능력들을 지니고 있으며 인간을 죽음으로 내모는 존재들로, 만델라 카탈로그 시리즈의 주된 소재이자 악역이다.

2. 특징[편집]


BPS 사이트의 얼터네이트 로고

If one manages to break into your home, refrain from any kind of communication or contact with the threat. These intelligent lifeforms utilize elements of psychological warfare to take advantage of their victims.

(만약 누군가 당신의 집에 침입했다면, 위협에 대한 어떤 종류의 의사소통이나 접촉을 삼가십시오. 이러한 지능적인 생명체는 희생자들을 이용하기 위해 심리전의 요소들을 활용합니다.)

The THINK principle 편 中


인간을 모방하는 정체불명의 인간형 생명체들로, 자신이 모방한 인간을 사냥하여 살해한다. 피해자를 찾고 궁지에 몰아넣으면 심리전을 통해 인간의 정신을 공격하여 자살을 유도하하는 방식으로 죽게 하는 것이 그들의 주요 능력이다. 그들과 대화를 나누면[6] M.A.D[7]라는 치사율 97%[8]의 정신 질환에 걸린다.

'시저'나 얼터네이트(The Alternate)를 보면 일부 얼터네이트의 능력인지는 불명이나 공중에 떠다니는 능력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Vol.4에서 BPS대원인 사라와 아담이 시저의 집에서 사람의 비명과 유사한 소리가 나는 오디오 미끼(audio lure)를 틀었을 때 얼터네이트로 추정되는 팔들이 나온 것을 보아 이를 통해서 얼터네이트를 유인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Vol.1 [RESTORED EDITION]의 시저와 Mandela Catalyst의 스포일러를 보면 하얀색의 안광이 나오기도 한다. 원해서 나오는 것인 지는 알 수 없다.

Why do you try to escape what you fear, Noah? (왜 너는 너의 두려움에서 도망치려 하느냐,노아?)

You will be punished for resisting my message.(너는 나의 부름에 저항한 대가로 벌을 받을 것이다.)

You will bring another creature on the boat.(너는 다른 생명체를 방주에 태울 것이다.)

You won't notice it at first, just wait Noah.(처음에는 눈치 채지 못할 것이나, 기다려라, 노아.)

Wait until you start to feel something.(너가 무언가를 느끼기 시작할때까지 기다려라.)

A change happening in your mind.(너의 마음에서 일어나는 변화를 말이다.)

You won't even realize that it had taken form until you see it. (그것이 실체화될 때까지 인지하지 못할 것이다.)

When you see it, there is no return. It will give you a message.(너가 그것을 보게 되는 때에는, 돌이킬 수 없을 것이다. 그것은 너에게 지시를 내릴 것이다.)

It will be your last message.(그것이 너의 마지막 지시가 될 것이다.)

이들이 활동한 시점은 1989년대로 묘사되지만 Exhibition에서 가브리엘노아에게 노아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다른 생명체를 방주에 태울 것이라고 말했으며 이후 Vol.4에서 최초의 얼터네이트인 가브리엘이 무려 창세기 시점부터 활동한 것으로 묘사된 점을 고려하면 실제로는 창세기부터 활동했던 것으로 보인다.

2.1. 동화[편집]


Assimilation

모든 얼터네이트는 인간을 모방할 수 있으며, 이를 동화(Assimilation)라고 부른다. 후술할 얼터네이트의 종류는 대부분 이러한 '동화'에 따라 나뉘며 동화에 실패한 경우에는 '결함있는 동화(Flawed Assimilations)'로, 원본과 완벽하게 동일하지는 않더라도 미세한 차이를 제외하면 식별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할 정도로 동화에 성공하면 '완전한 동화(Complete Assimilations)' 분류되며 이 상태에서 원본의 특징이 지나치게 과장되어 더 이상 인간의 형상이라고 볼 수 없을 정도로 동화가 진행되면 '과도한 동화(Overdriven Assimilations)'로 분류된다.

또한 얼터네이트는 외형뿐만 아니라 인간의 음성과 음악, 라디오의 소리까지 모방할 수 있으며 음성의 경우에는 한 번에 여러 명의 목소리를 동시에 모방할 수도 있다. 또한 그렇게 모방한 음성을 평소에는 멀쩡하게 구사하면서도 특정 상황에서는 음성을 변조하여 목소리가 깨지게 할 수 있다.[9] 다만 음성의 경우에는 문법이 어색하다는 단점이 있다.[10]

그러나 동화를 진행하기 전에 원본의 외형이나 개인정보에 대한 사전지식이 필요하며 목소리를 모방하기 전에도 음성의 샘플이 필요하다는 것이 암시되며[* Vol.4에서 이들이 만들어낸 것으로 추정되는 소프트웨어인 Face studio 2의 기능에서 알 수 있다. 또한 알렉스 키스터가 밝힌 바로는 얼터네이트의 "변장"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저하'된다고 한다. 즉, 동화를 하기 전에도 원본에 대한 전체적인 정보를 알아야 하고 동화를 진행해도 중간에 멈추거나 멈추지 못하여 실패할 수도 있을 뿐만 아니라 성공하더라도 결국 시간이 지나면 자연스럽게 원본에서 벗어나게 된다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는 것이다.

물론 얼터네이트가 이러한 동화를 여러번 반복할 수 있기에 기존에 동화한 인물의 외형이 "저하"되면 다른 인물을 동화하는 방식으로 해결할 수 있는 문제라고 할 수 있다.

2.2. 지능[편집]


소름 끼칠 정도로 지능적이다. '시저'의 카메라가 뒷 복도를 잘 보이게 조절해달라는 요구로 마크의 트라우마인 침입자와의 조우를 상기시키려는 수작을 부리거나, 아기가 울어도 방에 들어가지 말라는 구체적인 가짜 강령을 전파하며 침입자가 아이를 쉽게 납치해갈 수 있는 밑바닥을 까는 등의 행동이 마치 비슷한 능력의 옆동네 괴물들이 연상될 지경.[11]

2.3. 불멸성[편집]


1981년 시점인 The THINK Principle에서 미국 정부는 가능하면 얼터네이트를 무기로 제압하라는 강령을 내렸으나 얼터네이트를 호신용 무기로 제압을 시도한 마크는 결국 굴복해 자살했으며 전화 교환원 메뉴얼 중에는 얼터네이트와 관련한 신고를 무시하라는 내용이 있으며 아예 대처 경위가 쏜 총탄에 약간의 충격만 받은 것을 보면 사실상 무기로도 대적할 수 없을 정도로 강력한 존재라고 할 수 있다.

다만 현재까지 얼터네이트에 대적할 때 사용한 무기들은 화력이 낮은 권총류뿐이며, The THINK Principle과 Vol.1 리메이크에서 예시로 등장한 무기들은 각각 돌격소총과 산탄총과 같은 권총보다 훨씬 더 화력이 더 높은 무기들이기에 이런 무기들로 얼터네이트와 대적할 때도 약간의 충격만 받는 것으로 끝날 것인지는 알 수 없다.[12]


2.4. M.A.D.[편집]


Vol.1 [RESTORED EDITION]에서 묘사된 모습
Metaphysical Awareness Disorder/형이상학적 인식장애'[13]

얼터네이트로부터 인간이 인간이 알고싶지 않은 언어적 정보(verbal information that is not desired to be known)를 듣는 것으로 발병하는 정신질환이다. 1982년 3분기에 들어서 진달률이 95%나 늘어났으며 치사율, 사실상 자살율은 무려 97%이다.

M.A.D.의 증상은 자살 욕구를 느끼는 것으로 묘사되며 치사율 97%중 100%는 자살로 사망한다고 언급된다. 사실상 정신실환이 아닌 초자연적 현상이다.

그러나 살아남은 3%는 망상적 반전(Delusional Reversal)이라는 후유증을 보인다.[14] 작중에서 M.A.D에서 생존한 3% 중 한명으로 확실하게 묘사된 인물은 대처 데이비스가 유일하다.

한편 인터뷰에서 알렉스 키스터는 M.A.D에 관해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더 중요한 요소이나, 아무도 그 요점을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고 언급하였다. 즉, M.A.D는 상술한 내용이 전부가 아니라는 것.


2.5. 333 변질[편집]


MANDELATECH DAILY 2009년 11월

독특한 미디어의 무의미한 조합은 333 손상의 가장 흔한 징후이다.

통상적으로는 문제해결 장치가 이 문제를 해결할 것이다.

원문 보기

MANDELATECH DAILY NOV2009

NONSENSICAL COMBINATIONS OF UNIQUE MEDIA IS THE MOST COMMON SIGN OF 333 CORRUPTION
TROUBLESHOOTING DEVICE WILL USUALLY SOLVE ISSUE

333 corruption

얼터네이트로 인해 발생하는 컴퓨터 오류 현상으로, 언급 자체는 soccer game 2009에서 처음으로 언급되었으며 Vol.2에서 "ERROR CODE 333"으로 첫등장했다.

얼터네이트의 공격이 있을 때마다 비디오 영상이 왜곡되는 현상이 일떠나는 이유가 바로 이것으로, Vol.2에서 조나가 차를 몰고 도망칠 때 GPS의 음성과 동시에 화면에 'ERROR CODE 333 YOU LEFT HIM TO DIE'라는 메시지가 출력된다.

Vol.2에서는 조나가 차를 몰고 도망갈때 화면에 'ERROR CODE 333 YOU LEFT HIM TO DIE'라는 문구가 나오고 GPS 장치에서 음성[15]이 나오면서 처음으로 시리즈에 등장했다.

soccer game 2009에 있던 알렉스 키스터가 적은 고정 댓글에 있는 MANDELATECH의 뉴스 기사에 따르면 해당 현상의 가장 흔한 징후는 '독특한 미디어의 무의미한 조합'으로 보이며 보통 컴퓨터의 문제 해결사를 돌리면 해결된다고 한다.

MandelaTech의 뉴스 기사 내용을 보면 평범한 컴퓨터 오류인가 싶지만 Vol.2를 보면 일반적인 오류와는 거리가 멀고 얼터네이트와 관련되어 있는 것이 확실하다. 어쩌면 Overthrone,Vol.1에서 영상이 얼터네이트에 의해서 왜곡되거나 삭제된 My Movie.mp4의 고정 댓글에서 언급된 영상이 어떠한 이메일이나 파일을 받지않은 컴퓨터들에 나타나는 현상이 모두 333 변질일수도 있다.

또한 침입자가 모든 스크린 매체를 매개체로 나타날 뿐만 아니라 조작할 수 도 있다는 점, 333 타락이 직접적으로 등장한 Vol.2가 침입자가 직접적으로 등장한 에피소드일 뿐만아니라 음성도 침입자와 동일하다는 점을 보면 침입자가 333 변질 그 자체일 수도 있다.


2.6. 하이브 마인드[편집]



판매종료된 공식 가브리엘 비닐 피규어 설명에는 가브리엘을 첫 번째 얼터네이트이자 하이브 마인드 지도자[16]로 서술하였다. 즉, 얼터네이트는 가브리엘을 중심으로 하는 하이브 마인드로 연결되어 있다. 실제로 Vol.333의 얼터네이트는 아담이 만들어낸 툴파이기에 마크와는 일면식도 없음에도 그와 그의 목소리를 알고 있었다.

다만 얼터네이트 시저에게서 두드러지는 미친 듯이 웃는 모습[17]이나 화를 참는 목소리 등 감정적인 면모가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하이브 마인드라고는 하지만 자아가 없는 존재들은 아닌 것으로 추정된다.

3. 종류[편집]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 펼치기ㆍ접기 ]
파일:얼터네이트 역할명.png
[18]

3.1. 도플갱어[편집]


Vol.1 [RESTORED EDITION]에서 묘사된 모습
Vol.1[ 열람주의 ]
파일:THINK_Thumbnail.png
Doppelganger/Complete Assimilations

If you see another person that looks identical to you, run away and hide.

(만약 당신과 '똑같이 생긴 타인'을 보면 도망가서 숨으십시오..)

The THINK principle편中

The THINK Principle에서 TYPE ONE으로 소개되었다.[19] 주로 원본과 매우 흡사한 생김새를 지니고 있어, 미세한 차이를 제외하면 맨눈으로 식별할 수 없다. 얼터네이트들의 목적이 목적이다보니 가장 비중 있게 다루어지는 타입.[20]

  • '시저 토레스'
제일 처음으로 직접 등장한 도플갱어. 자세한 것은 시저 토레스의 '정체' 항목 참조.
침입자를 통해서 얼터네이트임이 암시되었다. 이후 Mandela Catalyst에서 얼터네이트가 맞았음이 확정되었으며, Presto 결말부에서 재생되는 곡의 제목이 'Der Doppelganger'라는 사실이 알려지며 도플갱어도 맞았음을 못 박았다.
[ 추정 ]
파일:Adam_if_he_evil.png
Vol.4 초반에 그가 적그리스도를 보자마자 시점이 잠시 전환되었으며 아담이 하와를 내려다보자[1] 그녀가 두려워했다는 점에서 얼터네이트로 대체되었다고 추정할 수 있다.
[1] 하와가 별을 보고 있었다고 했으므로 어쩌면 '시저'나 후술할 얼터네이트(The Alternate)가 그랬듯이 공중에서 내려다보았을 수도 있다.

  • The THINK principle의 도플갱어
파일:why-is-no-one-talking-about-how-big-his-forehead-is-lmao-v0-4rr69vps02ua1_20230418_203020_972.jpg
[ Vol.1 ]
파일:Doppelganger1.png
파일:Doppelganger2.png
[??]
The THINK principle에서 TYPE ONE의 예시 사진으로 각각 첫 번째, 두 번째 사진에서 나온 얼터네이트들이다.
Vol. 1 RESTORED EDITION에서는 얼터네이트의 예시 사진 중 첫 번째 사진만 나오며 어째서인지 타입명이 소개되지 않는다.
[??] 왼쪽이 원본이 된 인간,오른쪽이 얼터네이트이다.

  • Interlude의 도플갱어
파일:2wvbf8AkU_dfQ1Be.jpg
[*?? ]
Interlude에서 Complete assimilation으로 소개된 도플갱어 얼터네이트이다.


3.2. 언스피커블[편집]


파일:Type_Two.png
UNSPEAKABLE

처음에는 The THINK Principle에서 탐지 가능한 자(DETECTABLE) 또는 TYPE TWO 로 소개되었다. 2005년 시점에서는 상단의 형용할 수 없는 자, 언급해서는 안 되는 자(UNSPEAKABLE)로 재분류 되었으며 설명에는 명칭답게 그 이름을 절대로 언급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한다.[21]
현재까지 확인된 바로는 일반적인 얼터네이트들과는 달리, 온갖 초자연적인 능력들을 갖추고 있다.

극중 현재까지 등장한 이 타입에 속하는 유일한 얼터네이트인 아래의 가브리엘(적그리스도)외에 다른 언스피커블 얼터네이트가 존재하는지는 알 수 없으나, 정황상 가브리엘(적그리스도)이 유일한 언스피커블 얼터네이트로 보인다.
  • 가브리엘(Archangel Gabriel)
문서 참조.

3.3. 결함 있는 사칭자[편집]


파일:Biologically_Impossible_Alternates.png
Vol.1 [RESTORED EDITION]에서 묘사된 모습
Vol.1[ 열람주의 ]
파일:AlternateTYPE_THREE.png
Flawed Impersonators/Flawed Assimilations

If you see a person that has a biologically impossible characteristic, run away and hide.

(만약 당신이 생물학적으로 불가능한 특성이 있는 인물을 보면, 도망쳐서 숨으십시오.)

The THINK principle 편 中

The THINK Principle에서 TYPE THREE로 소개되었다. 다른 사람을 모방하는 과정[22]을 완료하지 못했거나 문제가 생긴 도플갱어들[23]이며 도플갱어들과 달리 이목구비가 아예 없거나 본모습을 감추지 못 했는지 끔찍하게 비틀려 눈만 번뜩이고 있는 것에서부터 아예 머리 포함 사지가 인간의 길이를 벗어나 있는 등의 명확하게 인간과 동떨어진 모습을 하고 있다. 일단 인간일까? 라는 의구심이 드는 순간 최대한 도망치라고 언급된다.
  • N
[ Vol.1【공포 주의】 ]
파일:ai3wfehzwcf81.png
파일:Flawed2.png
The THINK principle에서 나온 이미지와는 차이가 있다.

[ Vol. 1 [RESTORED EDITION]【공포 주의】 ]
파일:TMC_Remake_.png
디자인이 얼굴 전체가 그림자로 덮인 형태에서 절반만 덮인 것으로 약간 변경되었다. 오른쪽에 있는 얼터네이트가 N이다.

TYPE THREE의 예시 사진 중 두 번째와 마지막 사진에 나오는 얼터네이트이다. 그 충격적인 모양새 덕분에 몇 초밖에 나오지 않았음에도 사실상 얼터네이트를 대표하는 이미지가 되었다.[24]
Vol.1 리메이크판에서는 얼터네이트 예시 사진 중 세 번째 사진에서 나오며 마찬가지로 타입명은 나오지 않는다. 팬들 사이에서는 얼터네이트 타입명이 Interlude에서 소개된 것처럼 Flawed Assimilations, Complete Assimilations, Overdriven Assimilations으로 변경된 것이 아니냐는 가설이 나오고 있으며, 그렇다면 완전한 동화(첫 번째 사진), 불완전한 동화(두 번째 사진), 과도한 동화(N) 순서로 소개된 것이 되며 N은 후술할 '전달자'와 같은 Overdriven Assimilations에 속하는 타입일 수도 있게 된다.

  • The THINK principle의 얼터네이트
파일:Alternate_20230418_203025_103.png
[ Vol.1 ]
파일:Flawed1.png
[*?? ]
TYPE THREE의 예시 사진 중 첫 번째 사진에 나오는 얼터네이트이다.
Vol.1 리메이크판[25]에서는 얼터네이트 예시 사진 중 두 번째 사진에 나온다.
  • Exhibition의 얼터네이트
파일:Exhibitionalternate.jpg
Exhibition 5분 32초 부근에서 마크의 집 창문 밖에서 나타난 얼터네이트로, 자세히 보면 '시저'나 얼터네이트(The Alternate)처럼 공중에 떠다니는 것으로 보인다.[26]
  • Interlude의 얼터네이트
파일:Interlude2.jpg
[*?? ]
Interlude에서 Flawed Assimilations으로 소개된 얼터네이트이며, The THINK principle에서 나온 두 얼터네이트에 비해서는 그나마 인간에 가깝다.
  • Mandela Catalyst의 얼터네이트
파일:Mandela_Catalyst_tv_alternate.jpg
Mandela Catalyst 초반의 채널 3 뉴스의 방송사고가 촬영된 영상에서 등장한 얼터네이트로, 인트루더처럼 TV 화면에서 등장하였으나, 전체적인 외형과 이목구비가 없다는 점을 고려하면 인트루더가 아닌 얼터네이트로 보이며 타입은 '결함 있는 사칭자'로 추정된다.
이후 Presto에서도 5분 32초 부근에 동일한 얼터네이트로 추정되는 얼터네이트가 인트루더의 옆에서 등장하였다.[27]


3.3.1. Overdriven Assimilations[편집]


파일:does-anybody-know-how-alex-makes-these-images-v0-8beugpna5o6a1.png
Interlude에서 묘사된 모습
[*?? ]
Overdriven Assimilations

Act 2 Interlude에서 Overdriven Assimilation으로 소개되었다. 언뜻 보면 인간을 모방(Assimilation)하는 과정을 완료하지 않은 '결함 있는 사칭자'와 아무런 차이가 없는듯하나 Interlude에 나오는 가이드라인을 보면 결함 있는 사칭자, 도플갱어와 별개의 항목으로 있다. 그나마 인간의 특징이 있기는 한 결함 있는 사칭자와 달리 전달자를 보면 명백히 인간과 동떨어져 있기에[28] 별개의 타입으로 분리된 것으로 보인다.[29]
Act 2에서 신설된 타입이라 그런지 현재까지 확실히 이 타입에 속하는 얼터네이트로 밝혀진 것은 전달자가 유일하다.

  • 메신저(Messenger)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메신저(The Mandela Catalogue)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4. 툴파[편집]


Tulpa

Always remember the most important rule:if there is a new friend that lives in your head,it is best to manifest them instead.

(항상 가장 중요한 규칙을 기억해: 너희의 머릿속에 사는 새로운 친구가 있다면, 그들을 현실로 만드는 게 최고야.)

The Mandela Catalogue Vol.333 中

2005년 시점의 자료에서 처음으로 언급되나[30], 해당 자료에서 자체가 레트콘되었다고 밝혀졌기에 해당 설정이 유지되었다고 굳게 믿는 건 곤란하다.

Vol.333에서 잠재의식의 힘(The Might of the Subconscious)이라는 방송에서 본인을 스탠리(Stanley)라고 부르는 얼굴과 목소리가 친구를 허공에서 만들어내는 방법을 알려주겠다는 기묘한 말을 하는데, 그는 단계를 알려준 후[31] 눈을 감고 새로운 친구를 생각해보라고 한 다음, 된 것 같다며 네 친구는 네 집 어딘가에 있다며 찾아보는 것은 너의 몫이라는 소름 끼치는 말로 방송이 끝난다.
여기서 스탠리가 말한 내용은 "툴파(Tulpa)", 즉 '현실에 나타나는 상상의 친구'를 만드는 의식의 단계와 매우 유사하며, 애초에 이 항목의 얼터네이트 타입 명이 툴파(Tulpa)라는 점을 고려하면 이것이 툴파를 만들어내는 방법으로 보인다.

현재까지 공식적으로 한 번도 등장하지 않았으나 후술할 '미믹'과 달리 별다른 언급이 없는 것을 보아서 곧 비중 있게 등장하거나 이미 등장했을 가능성[32]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 얼터네이트(The Alternate)
문서 참조.

3.5. 그 외[편집]


아직 위 4가지 중 어느 타입인지 불분명한 얼터네이트들이 있다.
  • 여성(Women)
파일:UnnamedWoman.jpg
Vol.2 초반에 3년 전에 죽은 자신의 고양이 조니(Jonny)의 울음소리가 난다며 BPS 회원인 아담조나에게 성불시켜 달라는 의뢰를 요청[33]한 인물이나, 이후 집에 전달자를 포함한 얼터네이트가 다수 있는 점, 의뢰를 요청할 때 아담이 '오늘 갈까요? (Is tonight ok?)라고 말했는데 여성은 오늘 밤 (tonight)를 이틀 밤 (two-night)로 알아듣고 대답한 점, 애초에 여성의 집은 Vol.1에 나왔던 시저의 집이라는 점과 고양이 울음소리는 지하실에서 침입자가 CRT 텔레비전에서 내고 있었다는 점을 보아서는 이 여성은 얼터네이트로 추정되나, 목소리로만 등장해서 어느 타입인지는 불명.[34]
이후 Presto에서 언급되는데, BPS 측에서는 여성이 얼터네이트란 것과 그 의뢰 자체가 BPS, 그 중에서도 아담을 끌어들이기 위한 함정이었다는 것을 여전히 모르고 있다고 한다.

  • Vol.2 지하실의 얼터네이트들

what have you done(무슨 짓을 한 거야)

nobody is coming to help you(아무도 널 위해 오지 않아)

nobody knows where you are(아무도 너가 어디 있는지 몰라)

nobody knows(아무도 몰라)

do you understand (알아들었어?)

Vol.2에서 후반부 지하실에서 등장한 얼터네이트들로 아담이 카메라 밖에서 어떤 행동을 하자 분노하고 정신공격을 한다.[35] 목소리로만 등장했기에 각각 어느 타입인지는 불명이다.

  • Teaser (The Mandela Catalogue Vol.333)의 얼터네이트
파일:Snatcher.png
Teaser (The Mandela Catalogue Vol.333)에서 잠시 나타난 얼터네이트이나, 본편에서는 이 얼터네이트 대신 후술할 얼터네이트(The Alternate)가 등장하였다. 사실 이 얼터네이트가 나오는 장면은 영화 노스페라투의 한 장면이며 블렌더를 쓰기 전에 임시로 해당 장면을 넣은 것으로 보인다.
  • Vol.4의 얼터네이트
파일:IMG_20230816_224550.jpg
Vol.4의 in the beginning 파트에서 등장하는 얼터네이트.
BPS의 첫 번째 수사를 위해서 폴리스라인이 쳐진 폐가에 방문한 아담사라가 복도에서 오디오 미끼를 틀자 문이 저절로 열리는 현상과 함께 등장하지만, 얼터네이트 자체가 트라우마가 있던 사라는 버티지 못하고 줄행랑을 놓는다. 팔만 등장하였기에 타입은 불명이며, 애초에 여러 개체인지도 알 수 없다.

  • Presto의 얼터네이트
파일:pmK4Gj3_d.webp
Presto에서 등장하며, 4분 부근 아담 뒤의 창문에서 머리만 나타났다. 이후 4분 16초에서 잠시 클로즈업된 모습이 나온다. 대처와 아담의 대화를 엿듣고 있던 것으로 추정되며 머리만 나왔기에 타입은 알 수 없다.


3.6. 삭제된 종류[편집]


  • 5. 미믹(Mimic)
역시 심하게 검열되어 있다. 도플갱어들과는 다르게 물건 등을 모방하고, 숨소리가 들리는 것으로 식별하는 게 가능하다고 추정된다.
위의 툴파와 같이 2005년 시점의 얼터네이트 분류 따라 하고 언급된 이후 공식적으로 한 번도 등장하지 않았으나 일부 팬들 사이에서는 My Movie.mp4에서 '유령'으로 언급되는 움직이는 것이 사실 미믹이라는 주장이 있었다.[36][37]
결국 시리즈에서 등장이 아예 없었고 2023년 1월 4일 알렉스 키스터는 공식 디스코드에서 미믹 설정이 1년 전에 레트콘되었다고 밝혔다. 자세한 것은 여담 문단을 참조.


4. 양치기[편집]


You followed the shepherd. You are a fool. Follow my voice instead. You will find great happiness. Wake up, Adam. Do not make me wake the others

양치기를 따라갔지, 너는 어리석은 자다. 대신 내 목소리를 따라라. 그러면 너는 큰 행복을 찾게 될 것이다. 깨어나라 아담, 내게 다른 자들을 깨우게 하지 마.

Vol.2, 침입자아담에게


You were so close, David. You had it all figured out. The stage was set for you! Yet you still managed to follow the shepherd...

정말 아까워, 데이브. 너는 모든 것을 알아냈어. 너를 위한 무대가 마련되었지! 그런데도 너는 양치기를 따라갔어...

Vol.4, 가브리엘이 데이브 리에게


The Shepherd

침입자적그리스도로부터 언급되는 존재 혹은 인물.

현재 그 정체가 누구 또는 무엇인지는 불명이나 확실한 점은 "양치기"가 언급된 상황이 모두 얼터네이트 혹은 그와 협력하는 존재들이 그들의 말에 순종하지 않는 상황에서 "양치기를 따라갔다"라고 하는 것을 보면 정황상 얼터네이트들이 적대하는 존재일 가능성이 높다.

또한 그리스도교에서 양치기가 (=신자,비신자)를 이끄는 사제를 비유하는 말이라는 점, 예수요한 복음서에서 스스로를 '착한 목자(Bonus pastor,the good shepherd)에 비유하였다는 점을 보면 "양치기"의 정체는 예수일 가능성이 높다.Exhibition에서 적그리스도가 자신의 말에 순종하지 않은 노아를 비난할 때 "양치기"를 언급하지 않았다는 점, 노아가 그리스도 시대 이전의 인물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이 또한 "양치기"가 예수라는 근거가 될 수 있다.


5. 여담[편집]


[ 레트콘된 자료 ]
파일:얼터네이트 종류.jpg

{{{#white 적을 인지하십시오.
얼터네이트 종류에 대한 지침
2005년 기준
1. 도플갱어
맨눈으로 식별할 수 없습니다. 의심될 경우 당국에 연락하십시오.
2. 언스피커블
이전에는 "탐지 가능"으로 분류되었습니다. 절대로 이름을 불러서는 안 됩니다.
3. 결함 있는 사칭자
변장 과정을 완료하지 않은/변장 과정이 중지된 도플갱어의 일종입니다.
4. 툴파
[검열]거울.
가장 최근에 확인된 위협입니다.
5. 미믹
[검열]물리적 물체.
[검열]가청되는 호흡소리.}}}

[38]
파일:Mimics_are_not_a_thing_anymore.png
It's funny how people sill remember the "mimic" thing from a year ago that I retconned lmao
사람들이 제가 1년 전에 레트콘한 "미믹"을 아직도 기억하고 있다는 게 웃기네요 ㅋㅋㅋ
  • 2023년 1월 4일에 제작자인 알렉스 키스터는 유튜브 커뮤니티에 올렸다가 삭제된 2005년 시점의 자료의 얼터네이트의 타입 중 미믹의 설정이 폐기되었다고 밝혔으며, 레트콘되었다고 밝힌 것을 보아서는 해당 자료에 있던 얼터네이트 관련 설정 대부분이 폐기된 것으로 보인다.[39]

  • 타입 3 얼터네이트 사진 중 상술한 N의 사진은 사실 "BLUE_CHANNEL: THALASIN" 라는 공포 페이크 광고 영상의 "Dorcelessness"라는 감정을 오마주 한 것이다.

  • 만델라 카탈로그에서 가장 좋아하는 괴물/얼터네이트는 무엇이냐는 한 팬의 질문에 대한 알렉스 키스터의 트윗#에 따르면 그들의 '순수한' 모습은 마치 The Think Principle의 마지막에 나온 검은색의 몸과 하얀 눈, 뚜렷한 비인간적인 특징이 있는 형태라고 한다.

  • The Mandela Catalogue Vol.1 에서 시저의 얼터네이트가 캠코더에 얼굴이 비치는 장면이 나오는데, 이때 나오는 얼굴은 셀레네 델가도 로페즈 괴담에 나오는 데릭 토드 리몽타주다.[40]


  • 타입 3 얼터네이트의 사진 중 두 번째 사진의 얼터네이트의 왼쪽에 있는 사진은 유튜버 caliboi Crawford의 머그샷이라고 한다.

  • The THINK principle에서도 나오듯이 최소한 1981년까지만 하더라도 정부에서 관련 신고전화를 끊임없이 받는 것은 물론 문과 창문을 잠가놓고 최대한 집 안에 머물기를 당부하며 관련 행동강령인 T.H.I.N.K를 선포할 정도[43]로 얼터네이트의 심각성이 강조되었으나 Vol.2 시점에서는 조나의 대사에서 볼 수 있듯 아예 얼터네이트의 존재 자체를 의심한다든가, Vol.4에서 볼 수 있듯이 바이스론 고등학교가 잘 돌아간다든가[44] 서로 인터넷으로 문자를 보낸다든가 마치 현시점에서는 얼터네이트의 활동이 그다지 심각하지 않거나 아예 사라진 것처럼 사회가 정상적으로 돌아가는 듯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 그러나 interlude에서 만델라 카운티의 인구수 감소의 원인이 주민이 안전한 생활조건(safer living conditions)을 이유로[41] 이사를 간 것으로 나온다. 즉, 바이스론이나 욘더 등의 카운티에서도 얼터네이트가 존재는 한다만, 아예 유령도시가 되어버린 만델라 카운티에 비해서는 상당히 종식된 것으로 보인다.[42]

  • 팬덤에서는 보통 (등장인물)의 얼터네이트를 지칭할 때 큰따옴표나 작은따옴표를 써서 '(등장인물)', "(등장인물)" 따위로 표시한다.[45]

  • N은 팬덤에서 주로 하얀색의 이빨이 있는 검은색의 호리호리한 괴물로 그려지며 어째서인지 시저를 대체한 얼터네이트로 그려지는 경우가 대다수이다.[46]
    • 또 N은 nico's nextbots에서도 적으로 나온다. 이름은 N이 아니라 자신의 종족명으로 되어 있고, 쇼핑몰에 가면 나온다.

  • Sr pelo가 이놈들을 병맛으로 패러디했다.

  • 가브리엘(적그리스도)이 속한 얼터네이트 타입의 명칭이 "언급"해서는 안 되는 자(Unspeakable)인 이유는 영미권 속담인 "Speaking of the devil, and he will appear.(악마에 대해 말하면 그가 나타날 것이다.=호랑이도 제 말 하면 온다.)"에서 따온 것으로 보인다.

  • 레딧에서 진행한 AMA에 따르면 알렉스가 주요 얼터네이트들의 디자인을 정할 때는 주로 어린 시절에 자신을 두렵게 했던 것들을 기반으로 정한다고 한다.[47]
[ 해당 내용 ]

How do you come up for the designs for these alternates? ( preacher, intruder, etc..)

i mostly base them off of things that scared me as a kid (intruder=mereana mordegard glesgorv, preacher=the scream by Edward munch)

Q.얼터네이트들(설교자, 침입자 등..)은 어떻게 구상되었나요?

A. 대부분 어릴때 제가 두려워했던 것들이죠. (침입자=mereana mordegard Glesgorv, 설교자= 에드바르트 뭉크의 절규)



  • 최근 인트루더, 시저 봉제인형에 이어서 프리처[48] 봉제인형이 나왔다.#관련 영상(약간의 공포 주의)

  • 팬들 사이에서는 얼터네이트의 성별이 존재하는가를 두고 갑론을박이 나오고 있다.# 일단 확실히 당연하지만 알렉스가 얼터네이트들에게 성적 지향은 존재하지 않음을 못 박았다. 사실 이들이 사실상 성경의 악마들이라는 것을 생각해보면 성별이란 개념 따위가 중요하진 않겠다만.

  • 시리즈가 진행되면서 이들의 지도자인 가브리엘의 정체가 성경의 사탄이라는 것이 사실상 확정되면서 이들의 정체가 다름아닌 성경의 악마들이라는 추측이 나왔다.

  • 한편 지도자의 정체가 사탄이 맞다면 이스라엘처럼 종교적 상징인 지역에서 활동하는 대신, 굳이 아브라함 계통의 종교와는 아무런 관련이 없는 미국 위스콘신주의 카운티에서 활동하는 이유는 불명이다.
    • 또한 얼터네이트 사태가 미국 내에서만 일어났는지, 전 세계적으로 일어났는지는 여전히 알 수 없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9 00:40:23에 나무위키 얼터네이트(The Mandela Catalogue)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얼터네이트(Alternate)라는 명칭은 미국 정부가 이들을 부르는 호칭이며 이들이 자기 자신들을 정확히 뭐라고 호칭하는 지는 불명이다.[2] 최초의 얼터네이트인 하이브마인드 지도자창세기 시점 중 천지 창조 3일째부터 활동을 하였다는 것이 Vol.4에서 밝혀졌다.[3] 후술할 가브리엘 비닐 피규어 상품설명란에 적그리스도를 하이브마인드 지도자(The Hivemind leader)로 서술했다.[4] 애초에 천사나 악마의 성별이라는 개념 자체가 기독교에서 회의적으로 받아들여진다. 이 때문에 작품 외적으로 굳이 인칭대명사를 써야 한다면 그들이 동화한 인물의 성별을 따르거나 they, it 등의 성별 불특정 인칭대명사를 사용한다.[5] 현재 사이트 삭제됨.[6] 정확히는 인간이 얼터네이트가 알고 싶지 않은 언어적 정보(verbal information that is not desired to be known)를 말하는 것을 듣는 것이다. 즉, 반대로 말하자면 이들과 대화를 나누어도 해당 "정보"를 말하거나 듣지 않는 한 M.A.D에 걸리지 않는다.[7] 여기서 M.A.D는 Metaphysical Awareness Disorder(형이상학적 인식장애)의 약자이다. [8] 그렇기에 97%는 자살하고 살아남은 3%도 자살 충동과 망상 장애에 시달리는 것으로 보인다.[9] 단적인 예로 '시저'의 경우에는 마크와 통화할 때는 목소리가 매우 멀쩡했으나, 정체를 드러낸 뒤에는 오디오 테이프가 끊기는 것처럼 한 단어를 반복적으로 되뇌거나 목소리가 기계음같이 날카롭고 노이즈 낀 듯이 들린다. 정황상 희생자를 정신적으로 몰아붙이기 위해 의도적으로 음성을 왜곡하는 것으로 보인다. [10] Vol.2의 의뢰인과의 통화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다. 아담이 Tonight(오늘 밤)이라 한 것을 여인이 Two night(이틀 밤)로 알아듣고 Three nights(사흘 밤) 동안 일해줄 수 있느냐고 물어본다. 영어를 모르더라도 사흘 동안이라고 하면 three days라고 하지, three nights라고 말하진 않을 것이다.[11] 이들이 하이브 마인드로 연결되어있고 그 지도자어떤 존재이고 얼마나를 교활한가를 고려하면 애초에 개개인이 수태고지를 막을 정도로 높은 지능을 가진 존재와 연결 및 지휘되고 있으므로 이러한 지능적인 모습을 보이는 것이 당연하다고 볼 수 있다.[12] 무엇보다 The THINK Principle에 나왔던 머그샷을 찍으려면 일단 얼터네이트를 생포해야 하는데 아예 인류가 대응 못하는 존재라면 이것이 불가능하기 때문.[13] 당연하게도 '미친', '정신이 나간'의 단어인 mad를 역두문자어화한 것이다.[14] 현실에선 없는 병명이며 따라서 이게 무엇인지 현재까지는 명확히 알 수 없다.[15] "를 죽게 내버려두었다","눈을 떠라".이때 잘들어보면 음성이 동일한 에피소드에서 등장한 침입자와 같다.[16] The hivemind leader that doomed Mandela County from the very beginning.[17] 이는 Vol.333 후반부의 얼터네이트(The Alternate)에게서도 보인다.[18] N의 모습이 조금 더 검해젔으며 얼굴은 가려져 있지만 가브리엘도 있다.[19] Interlude에서는 Complete Assimilations으로 소개된다.[20] 다만 극 중에서 도플갱어 얼터네이트가 등장한 것은 The THINK principle에서 나온 예시로 제시된 인물들, Vol.1과 Vol.333에서 등장하는 시저 토레스, 목소리만 나온 Vol.2의 '여인', 그리고 Act.2에서 얼터네이트임이 밝혀진 아담 머레이가 전부이다. 말하자면 세계관 내에서의 입지는 제일 크나, 외적으로는 아래 타입들의 위상(...)에 밀려 비교적 입지가 적어진 것이라고 할 수 있겠다.[21] 다만 현재 이 내용은 레트콘되었을 수도 있다.[22] Interlude에서 밝혀진 명칭은 동화(Assimilations).[23] Interlude와 스트림에서 언급된 점을 고려하면 '동화'를 하다가 알 수 없는 이유로 중간에 실패했거나, 완전히 성공했더라도 시간이 지나 '저하'되었거나, 성공한 것을 넘어 계속한 나머지 도저히 인간이라고 볼 수 없는 형상이 되어버린 것으로 보인다. 또한, 동화를 계속한 경우는 '과도한 동화(Overdriven Assimilate)'라는 별개의 타입으로 분류된다.[24] 여담으로 팬덤에서는 정부에서 어떻게 얼터네이트의 머그샷을 찍었느냐는 말이 있다.[25] Vol. 1/RESTORED EDITION[26] 다만 목을 맨 사람의 실루엣 같다는 주장도 있다.# [27] 이때 연출이 Vol.4의 메신저를 쓰는 장면과 유사하다.[28] 설교자와 결함 있는 사칭자인 N을 비교해보면 '결함 있는 사칭자'는 '동화'를 완료하지 못해서 인간과 동떨어져 있지만 자세히 보면 원본이 된 인간의 외형이 그나마 조금이라도 있다. 반면에 설교자는 상단의 사진을 보면 알겠지만 원본이 된 노수녀의 형상이 아예 찾아볼 수 없다.[29] 가이드라인을 보면 '동화(Assimilation)'를 완료하지 못하면 결함 있는 사칭자가 되고, 동화를 적당히 완료하면 원본과 흡사한 도플갱어가 되지만 그 상태에서 동화를 더 하면 결국 Overdriven Assimilation이 되는 것으로 보인다.[30] 검열되어 있어 알아보기 어려우나 거울을 매개체로 삼아 등장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가장 최근의 위협이라는 언급이 있는데 이를 보아서 나타난 지 얼마 안 된 타입으로 보인다. Exhibition 후반부에서 USDTP에서 텔레비전과 거울에 영향을 받아 MAD 증상이 발병된 주변 사람을 당국에 신고하라는 말과 함께, 텔레비전 및 거울 파괴 명령을 발령했는데 아무래도 이 때문인 듯.[31] 그 "친구"가 어떻게 생겼으며, 어떤 소리를 내고 홍채색은 무엇인지를 물어보면서 "그들도 너만큼 두려워한다."는 말을 하였다.[32] 만약 후술할 '얼터네이트(The Alternate)'가 정말로 아담이 만들어낸 툴파라면 툴파는 시리즈에 이미 등장한 셈이다.[33] 본인이 출장 나가 있는 동안 집을 3일 정도 봐달라고 하는데, 이때 얼터네이트임이 암시된다.[34] 어쩌면 별개의 얼터네이트가 아니라 고양이 울음소리를 낸 것처럼 처음부터 침입자가 위장한 것일 수도 있다.[35] 지하실에 여러 개체가 있던 것으로 보이나 지하실에 단체로 있었던 것인지 Vol.333에서 시저의 얼터네이트가 했듯이 한 개체가 여러 명의 목소리로 말한 것인지 아니면 애초에 지하실에 없었고 고스트박스로 말한 것인지는.. 어느 쪽이든 좋지 않은 상황이다.[36] 그런데 알렉스가 미믹 설정을 폐기했다고 하자마자 해당 영상이 일부 공개 처리되었음을 고려하면 정말로 미믹이 첫 등장한 영상이었을수도 있다.[37] 사실 원작자 알렉스 키스터의 자체 패러디 시리즈인 The Scrimblo Catalogue 1편에서 마크가 그의 집의 문을 열기 직전 자신이 왜 여기 있느냐면서 그냥 가버려(...) 빡친 시저의 얼터네이트가 차로 변신하여 마크를 쳐서 죽이는 부분이 나오면서 비공식적으로 이미 등장했다.[38] 레딧에서 위 가이드의 검열된 부분이 공개된 유출본으로 추정되는 이미지가 올라왔는데 그에 따르면 검열된 부분의 내용은 이렇다.# [39] 그러나 굳이 Vol.333의 얼터네이트 관련으로 많이 언급되고 있는 툴파를 언급하는 대신 미믹만을 언급한 것을 보아서는 '툴파'분류 설정은 유지된 것으로 보인다.[40] 이 몽타주는 Mr. Incredible Becoming Uncanny의 페이즈 4에서도 로버트 파의 얼굴에 합성되어 있던 것으로 잠깐 나오고, nico's nextbots에서도 셀레네 델가도 로페즈의 얼굴로도 나온다.[41] 여기에서 safer은 문맥상으로 "(그나마)더 나은"이라는 의미이다. 다시 말하자면, 바이스론 등의 카운티에서 얼터네이트 사태가 완벽히 종식되었으면 그냥 safe라고 하지 safer이라고 하진 않을 것이다.[42] 다만 왜 굳이 만델라 카운티에서만 얼터네이트 사태가 심각한지는 불명.[43] 이외에도 Metaphysical Awareness Disorder에서 볼 수 있듯이 상술한 M.A.D의 발병을 방지하기 위해서 지나치게 잦은 종교활동을 피하라거나 불필요하게 철학적인 사상에 믿음을 보이지 말하거나 Exhibition에서 얼굴이 비치는 파괴 명령을 선포한다든가 Vol.2에서 GPS 장치를 금지했다고 언급된다.[44] Vol.4에서 2005년 시점에서 사라가 고등학교에서 BPS의 전신인 BPC를 홍보하는 모습을 볼 수 있는데 상식적으로 여전히 정부에서 최대한 집 안에 머물라고 할 정도로 얼터네이트의 위협이 심각하다면 애초에 이런 일이 일어나는 것 자체가 불가능하다..[45] 이는 보통 주의 환기용 인용(scare quotes, air quotes)이라고 불리며, 따옴표 안에 있는 어구를 원래 의미와 다르게 의심스러움, 빈정거림, 반어의 감정 상태를 표현할 때 쓰인다. 요약하자면 얘는 걔가 아니에요를 돌려 말하는 것. 얼터네이트의 습격을 피하기 위해서라 카더라[46] The THINK Principle의 마지막 사진에서 N이 있던 침실이 Vol.1에서 마크가 갇혀있던 방이랑 유사한지라 이렇게 묘사되는 듯하다.[47] 그에 따르면 침입자는 크리피파스타인 mereana mordegard Glesgorv에서, 전달자는 에드바르트 뭉크의 절규를 모티브로 디자인했다고 한다.[48] 설교자(Preacher). 어째서인지 현재 이름인 전달자(Messenger)가 아닌 역할이름으로 되어 있다.